Home > 커피뉴스 |
2580일전 | 18.05.06 | 조회 155
카페 창업 노하우반을 모집합니다.1, 컨셉의 결정·왜 카페를 하고 싶은가?·2, 자금 조달·공적 금융 기관·3, 커피숍 자리 찾기의 요령·4, 인테리어 공사·내부는 자기 만족인가?·5, 커피숍 창업 머신을 신제품으로 아님 중고로 할것인가?·6, 분위기 조성·여러 형태의 가구,조명·7, 원두,식자재 구입처를 알아보기·8, 메뉴, 원가, 고객층·9,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직원 모집·10, 자격과 신청·식품 위생 교육·11,창업 자금의 4가지 내역·12, 성공적인 커피숍 운영에 대한 지식 본 교육은 카페 예비 창업자를 지원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오픈 스케줄을 잡아 드립니다.창업부터 운영까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창업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커피바리스타MBA학원에서는 창업준비,커피머신 ,원두 선정부터 나만의 카페 메뉴 구성을 도와드립니다. 그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며 원두 및 부재료 선정 및 기구 청소,장부 관리까지 카페 창업에 필요한 중요한 운영노하우를 전달해드립니다. 또한, 커피숍 오픈과 운영에 관하여 , 메뉴 관리 ,바 동선,청소 관리,장부 관리 ,직원 관리,고객 관리 방법을 알려드리며 여러분이 성공적으로 카페를 오픈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합니다.이제는 카페 창업을 혼자 헤매면서 힘들게 고민하지 마세요. 저희 커피바리스타MBA학원이 적극 도와드리겠습니다.
2591일전 | 18.04.25 | 조회 152
로부스타 Robusta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의 대표품종으로 세계 커피 생산량의 30~40%를 차지한다.학명은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이다. 원래 코페아 카네포라의 대표 품종인데, 로부스타란 이름이 널리 알려져 카네포라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19세기 중엽 아프리카 콩고(Congo)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로 700m 이하의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재배되며 적정 강수량은 2,000~3,000mm이다.아라비카보다 향미가 약하고 쓴맛이 강하며, 카페인 함량이 높은 편이다. 생두의 모양은 둥근 타원형에 가깝고 연갈색, 황갈색을 띤다. 병충해에 대한 저항이 강해 재배가 쉬워 경제적 이점이 있다. 주로 커피 블랜딩이나 인스턴트 커피의 주원료로 사용한다. 서로 다른 유전자를 가진 두 식물 사이에서 수분이 일어나는 자가불임성(自家不稔性, Self-sterile) 나무이기 때문에 분류하기 어려울 만큼 수많은 변종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인도네시아의 BP, SA 시리즈, 인도의 S274, BR 시리즈, 브라질 로부스타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코닐론(Conilon) 등이 있다. 아라비카 Arabica세계 커피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커피 품종으로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이다.학명은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이다. 주로 800m~2,000m 이상의 열대 고지대에서 재배되며 적정 강수량은 1,500㎜~2,000㎜이다. 향미가 우수하고 신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카페인 함량이 낮은 편이다. 생두의 모양은 납작한 청록색, 연녹색, 노란색이다. 주로 스트레이트 커피(Straight Coffee)와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에 사용한다. 코페아 아라비카는 자가수분(自家受粉 , Self-Pollination)을 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원형을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다. 대표적인 고유 품종으로는 티피카(Typica)와 버본(Bourbon)이 있다. 그러나 15세기 이후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자연적 돌연변이와 인위적인 품종개량을 통해 여러 변형 품종이 생겨났다. 대표적인 코페아 아라비카 품종은 다음과 같다.그 외에 커피 녹병(Coffee Leaf Rust, CLR; 커피나무 잎의 곰팡이가 쇠의 녹과 같은 모양)에 강한 HdT(Hibrido de Timor; 동티모르에서 발견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자연교배종), 카티모르(Catimor; HdT와 카투라의 교배종), 켄트(Kent; 인도 고유 품종) 등이 있다.
2603일전 | 18.04.13 | 조회 145
스페셜티 커피의 정의◆소비자(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컵 안 커피의 풍미가 뛰어난 맛으로 만족하는 커피일 것.◆풍미가 뛰어난 커피란 인상적인 풍미특성, 상큼하고 밝은 신맛의 특성이 있고, 지속되는 커피의 단맛으로 느껴질 것.◆컵안의 풍미가 뛰어나기 위해서는 커피생두에서 컵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쳐 일관적인 체제, 공정에 있어 품질관리향정책, 품질관리가 철저할 것이 필수이다. 커핑 평가10항목의 총점으로 결정그 후 1982년 미국의 캘리포니아메리카스페셜티커피협회(SCAA)가 탄생, 91년에 브라질, 93년에 코스타리카, 98년에 유럽 등, 스페셜티커피협회는 생산국에도 퍼졌습니다. SCAA에서는 커핑저지(커피 심사원) 자격을 가진 사람이 커핑평가를 하여 결정합니다. 평가에는 10가지 항목이 있고, 총점이 80점 이상의 커피생두를 스페셜티 커피라고 하고 60점~79점을 프리미엄커피, 50점~59점의 커피를 커머셜커피라고 부릅니다.커핑평가10항목Fragrance Aroma- 뜨거운 물을 붓기 전과 후의 향Flavor- 풍미의 인상을 먹는 것을 예로 들어 표현Acidity-상큼하고 섬세한 신맛의 정도Body- 입 근처나 입 안에 남는 감칠맛Aftertaste- 입이나 비강에 남는 커피의 맛Sweetness- 단맛의 여부를 판단Uniformaity- 커핑하는 5잔의 균일성Balance- Flavor, 신맛, Body의 밸런스Clean Cup- 커피의 깨끗함을 판단Overall- 전체를 아우르는 감상
2605일전 | 18.04.11 | 조회 150
바리스타에게 있어 필요한 7가지의 힘 1. 일을 확실히 진행할 수 있다 - 체력 2. 평상심을 가지고 본질을 추구하라-정신력 3.손님들을 즐겁게 하고, 신뢰를 받는다 -지식 4. 손님의 니즈에 응답하고, 실력을 발휘하라 - 기획력 5. 가게를 사람들은 움직이도록 하라 - 운영능력 6. 손님의 만족도를 높인다. - 접객력 7. 기술을 쌓아, 목표를 향해 - 인내력 . .